오늘의 궁금증

엠바고란? 기자들도 말 못하는 정보, 왜 숨길까?

궁금한 회사원 2025. 6. 28. 23:44
반응형

뉴스나 기사를 보다 보면 가끔 “엠바고 해제 이후 보도되었습니다”라는 문구를 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이 ‘엠바고(embargo)’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왜 필요한지 쉽게 풀어드립니다.


엠바고(Embargo)란?

정해진 시점까지 특정 정보를 공개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입니다.
주로 언론, 정부 발표, 기업 마케팅, 과학 논문 등에서 사용되죠.

쉽게 말해,

“이 정보를 미리 알려줄 테니, OO일 OO시 전까지는 공개하지 마세요.”
라는 약속입니다.


예시로 이해해보자

1. 뉴스 보도 엠바고

정부가 새로운 정책을 준비하면서 기자들에게 미리 자료를 줍니다.
“내일 아침 6시까진 기사 내지 마세요!”
→ 기자들은 그 시간 전에 보도하면 안 되고, 딱 맞춰서 기사들을 일제히 내보냅니다.

2. 연예계 신곡 발표

소속사는 아이돌의 신곡이나 뮤직비디오를 기자나 팬들에게 미리 공개합니다.
“정해진 시간 전에는 SNS에 절대 유출 금지!”
→ 엠바고를 어기면 보도 제재를 받거나, 관계가 끊길 수 있습니다.

3. 과학 논문 발표

유명 저널(예: 네이처, 사이언스)에 논문이 실릴 경우,
연구진은 엠바고가 풀리기 전까지 발표하거나 언급할 수 없습니다.


왜 엠바고를 걸까?

  • 공정한 정보 공개: 누구나 동시에 정보를 알 수 있게
  • 혼란 방지: 미리 정보가 유출되면 시장이 요동치거나 불안감이 생김
  • 언론 준비 시간 확보: 기자들이 기사를 미리 써두고 정확한 보도를 할 수 있게 함

엠바고를 어기면 어떻게 될까?

  • 출입 금지: 해당 기관이나 행사에서 퇴출
  • 보도자료 제공 중단: 향후 중요한 정보를 받을 수 없게 됨
  • 신뢰도 하락: 언론사 이미지에 타격

엠바고는 단순한 규칙이 아니라 신뢰와 공정성의 약속입니다.


마무리하며

엠바고는 언론과 사회가 더 공정하고 질 높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우리가 뉴스를 볼 때 ‘왜 모두 동시에 나올까?’ 궁금했다면,
그 이면에는 바로 이 엠바고 제도가 숨어 있었던 것입니다.


이런 정보, 유익하셨나요?
뉴스, 사회, 정책의 이면을 더 알고 싶다면 블로그 즐겨찾기 해두세요.
다음에도 세상을 이해하는 한마디 지식,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반응형